
🤔 JPA 의 핵심 영속성 컨텍스트 JPA 의 핵심 2가지 JAVA 의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와의 Mapping 을 HOW? 영속성 컨텍스트 (1차 캐시) 항상 날 괴롭게 한다.. 영속성 컨텍스트 (persistence Context) ❌ 영속성 컨텍스트 != 데이터 베이스 (임시 저장소라고 생각하자) 논리적인 개념 엔티티 매니저를 통해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접근 엔티티 매니저당 하나의 영속성 컨텍스트를 가진다 J2EE 환경에서는 영속성 컨텍스트가 하나의 엔티티 매니저로 관리되는 것은 아니다 같은 트랜잭션 안에서는 사용하는 EntityManger끼리 같은 영속성 컨텍스트를 공유 영속성 대상 (Entity) 의 상태 비영속 상태 영속 상태 준영속 상태 삭제 ❗ 중요한 점은 영속 상태이다. 마치 data..
🔨 jpa 시작 JPA 설정파일 persistence unit : 주로 데이터 베이스 하나당 하나로 만든다. unit 이름으로 구분하게 된다. properties : 필수 속성, 옵션 속성들 기입 Connection 정보 기입 (driver, user, password, url) dialect 데이터 베이스 방언 기입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 마다 제공하는 SQL 문법과 함수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 options 로그 찍어주기, table 생성 방식, 등등 ✅ 스프링에서는 persistence.xml 보다는 주로 yml로 관리 된다. 🛠 그래서 어떻게 사용해? 설정한 persistence unit name 으로 Entity Manager Factory를 생성 EntityMangerFactory에서 entity..
- Total
- Today
- Yesterday